2024.05.05 (일)

  • 흐림속초19.6℃
  • 비17.4℃
  • 흐림철원15.3℃
  • 흐림동두천16.2℃
  • 흐림파주15.1℃
  • 흐림대관령15.8℃
  • 흐림춘천17.3℃
  • 비백령도13.9℃
  • 흐림북강릉21.6℃
  • 흐림강릉21.7℃
  • 흐림동해16.7℃
  • 비서울17.0℃
  • 비인천17.1℃
  • 흐림원주19.9℃
  • 비울릉도17.0℃
  • 비수원16.8℃
  • 흐림영월14.0℃
  • 흐림충주18.1℃
  • 흐림서산18.6℃
  • 흐림울진15.6℃
  • 비청주19.2℃
  • 비대전17.6℃
  • 흐림추풍령17.2℃
  • 비안동16.2℃
  • 흐림상주16.5℃
  • 흐림포항19.5℃
  • 흐림군산18.7℃
  • 비대구19.9℃
  • 비전주19.2℃
  • 흐림울산19.5℃
  • 비창원19.1℃
  • 비광주18.7℃
  • 흐림부산20.2℃
  • 흐림통영17.4℃
  • 비목포19.1℃
  • 비여수17.1℃
  • 비흑산도18.0℃
  • 흐림완도19.1℃
  • 흐림고창18.9℃
  • 흐림순천17.2℃
  • 비홍성(예)18.2℃
  • 흐림16.5℃
  • 비제주23.7℃
  • 흐림고산18.9℃
  • 흐림성산19.3℃
  • 비서귀포19.6℃
  • 흐림진주17.2℃
  • 흐림강화15.9℃
  • 흐림양평17.3℃
  • 흐림이천16.8℃
  • 흐림인제16.7℃
  • 흐림홍천16.4℃
  • 흐림태백15.8℃
  • 흐림정선군13.7℃
  • 흐림제천16.4℃
  • 흐림보은18.3℃
  • 흐림천안17.4℃
  • 흐림보령19.6℃
  • 흐림부여18.7℃
  • 흐림금산18.9℃
  • 흐림17.1℃
  • 흐림부안19.1℃
  • 흐림임실17.5℃
  • 흐림정읍19.1℃
  • 흐림남원17.8℃
  • 흐림장수17.5℃
  • 흐림고창군19.1℃
  • 흐림영광군18.8℃
  • 흐림김해시19.7℃
  • 흐림순창군18.1℃
  • 흐림북창원20.4℃
  • 흐림양산시21.1℃
  • 흐림보성군18.4℃
  • 흐림강진군19.2℃
  • 흐림장흥18.2℃
  • 흐림해남19.7℃
  • 흐림고흥18.5℃
  • 흐림의령군17.5℃
  • 흐림함양군17.5℃
  • 흐림광양시17.1℃
  • 흐림진도군19.3℃
  • 흐림봉화15.1℃
  • 흐림영주16.3℃
  • 흐림문경16.0℃
  • 흐림청송군14.7℃
  • 흐림영덕17.1℃
  • 흐림의성18.0℃
  • 흐림구미18.6℃
  • 흐림영천18.5℃
  • 흐림경주시19.2℃
  • 흐림거창15.8℃
  • 흐림합천17.0℃
  • 흐림밀양20.6℃
  • 흐림산청16.7℃
  • 흐림거제20.0℃
  • 흐림남해17.6℃
  • 흐림20.6℃
기상청 제공

365일 언제나 새로운 실시간 뉴스! 빠른 뉴스!!

최종편집일. 2024.05.04 04:04
부정맥, 바르고 정확하게 알기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정맥, 바르고 정확하게 알기

[구미뉴스]=급성 심장사중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는 것이 부정맥성 질환이다. 특히 요즘같이 실내와 실외의 기온 차이가 심하게 나는 계절은 급성관동맥증후군의 질환이 자주 발생한다. 또 그로 인한 부정맥성 질환도 흔치 않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부정맥성 질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정확한 진단으로 부정맥의 종류와 증상 파악해야

부정맥 질환의 가장 많은 증상은 가슴 두근거림 증상이다. 평상시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갑자기 발생하는 두근거림 증상이 오래 지속될 경우에는 부정맥성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두근거림 증상 이외에도 가슴이 철렁대는 느낌 혹은 덜커덩대는 느낌이라고 표현하는 환자도 있다. 이와 같이 증상은 어느 한 가지로 통일될 수는 없고,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난다. 특별하게 관심을 좀 더 두어야 할 증상은‘의식소실’혹은 어지럼증을 동반한 두근거림 증상이다.

부정맥 진단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도 간편한 검사는 심전도 검사다. 따라서 건강검진을 시행할 경우에는 비용이 비싸지도 않고, 쉽게 시행할 수 있는 심전도를 검사 항목으로 추가하는 것을 권장한다.

심전도가 부정맥성 질환을 진단하는 데 중요하고도 기본적이긴 하지만 단점이 있다. 이 검사법은 숨어 있거나 가끔씩 발현되는 부정맥은 발견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런 단점 을 보완하기 위한 검사법으로 일명 ‘홀터(Holter)’ 검사법이 있다.

이 검사법은 심전도가 10초 정도 심장의 리듬을 확인하는 것 이라면 말 그대로 24시간 혹은 48시간 정도 연속해서 심장 리듬을 확인해 볼 수 있어 숨어 있는 부정맥을 찾는 데 효과적 이다.

하지만 일주일에 한두 차례 혹은 특별한 상황에서만 발생하는 경우(음주·심한 운동 시)나 기껏해야 1년에 서너 차례 미만의 빈도로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진단이 어려워 ‘전기생리학 검사법’을 쓴다. 입원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제일 정확하고 확실하게 부정맥을 진단하는 검사법이다.

약물요법·고주파전극도자 절제술 등으로 치료

부정맥은 심신을 안정시키고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하고 음주를 절제하면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증상이 있다고 바로 항부정맥 약제를 처방 받는 것을 권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항부정맥 약제가 ‘양날의 칼’과 같은 면이 있어 하나의 부정맥 치료를 위한 항부정맥 약제의 복용이 종류가 다른 부정맥을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근거림이나 덜컹거리는 증상이 심해 일상이나 업무를 보는 데 지장을 줄 정도라면, 또한 부정맥의 증상이 있으면서 실신의 병력이 있거나 급사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악성 부정맥(심장마비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는 부정맥)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부정맥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하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증상이 없고, 부정맥의 발현 빈도가 낮고 급사의 가능성을 초래할 위험성이 거의 없는 심실조기수축 부정맥은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만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심실조기 수축이라도 발생 빈도가 높고 증상을 심하게 유발하는 경우, 정상맥과 심실조기 수축 간 간격이 짧아 악성부정맥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치료가 필요하다.

일단 항부정맥 약물 치료가 먼저고 약제 치료에 증상이 조절되지 않거나 부정맥의 발생 빈도가 너무 높아 장기적으로 심실의 수축기능을 떨어뜨리는 경우에는 ‘고주파전극도자 절제술’이라는 중재시술적 치료를 생각해 볼 수 있다.

60세 이상의 연령에서 1% 이상의 유병률이 발견되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심방세동’은 뇌졸중(중풍)과 연관되는 부정맥이다. 정상맥을 가지고 있는 일반인에 비해 심방세동의 부정맥을 가진 환자에서 대략 5배 이상의 뇌졸중의 위험성이 높고, 치매 발생률은 3배 정도 높이고, 사망률도 2배 이상 높인다고 알려져 있다.

요즘같이 한파가 몰아치는 추운 겨울철에는 일반적으로 중풍의 발생률도 올라간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심방세동의 부정맥이 있다면 심방세동의 합병증 중의 하나인 중풍의 발생 예방에 충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예전에 심방세동 치료중 중요한 포인트는 뇌졸중 등의 합병증 예방을 위한 와파린 같은 경구용 항응고제 치료가 주였지만, 최신의 치료 방향은 뇌졸 중 예방과 더불어 ‘적극적인 정상맥 전환 치료’가 미국과 유럽 심장학회 및 부정맥학회에서 권고되고 있다.


돌연사의 원인 중 하나로 악성 부정맥인 심실빈맥과 심실세동(규칙적인 심방실 간의 조율이 되지 않아 급사를 유발하는 빠른맥)의 치료는 약제 치료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인 ‘삽입 형 제세동기’ 삽입술로 급성 심장사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서맥형 부정맥인 경우 안정 시나 운동 시 심박동수가 분당 40회 미만이 돼 뇌쪽으로 공급되는 혈액량이 부족해 주로 어지럼증 혹은 실신의 증상으로 발현된다. 이런 경우 약물치료는 없고, 환자 대흉근막 밑 부분에 시술하는 영구형 인공심박동기 치료를 시행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대구지부 이종주 원장(순환기내과 전문의)은 “선천적이며 유전적인 부정맥이 발생하는 자체를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하겠지만 기존에 진단 받은 부정맥의 잦은 재발을 막기 위해서 우리가 일상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것은 절주 혹은 금주, 기름에 튀긴 음식 및 고칼로리 음식들 줄이기, 다량의 카페인(커피, 홍차, 녹차 등) 섭취 제한, 충분한 수면 및 휴식과 적절한 운동 등이 있다.”고 조언했다.


(자료제공〕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소식 2017년 1월호 발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