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맑음속초21.5℃
  • 구름많음23.2℃
  • 구름많음철원23.7℃
  • 구름많음동두천23.7℃
  • 구름많음파주23.6℃
  • 구름많음대관령19.5℃
  • 구름많음춘천23.2℃
  • 박무백령도21.7℃
  • 구름많음북강릉20.8℃
  • 구름많음강릉22.0℃
  • 구름조금동해21.6℃
  • 구름조금서울23.8℃
  • 구름조금인천22.3℃
  • 구름조금원주24.3℃
  • 흐림울릉도22.3℃
  • 구름많음수원22.9℃
  • 구름많음영월23.4℃
  • 구름많음충주23.7℃
  • 구름많음서산23.1℃
  • 흐림울진21.3℃
  • 구름많음청주26.0℃
  • 구름많음대전23.7℃
  • 흐림추풍령22.8℃
  • 구름많음안동24.7℃
  • 구름많음상주24.7℃
  • 흐림포항26.3℃
  • 구름많음군산23.2℃
  • 흐림대구26.4℃
  • 흐림전주24.4℃
  • 흐림울산24.9℃
  • 흐림창원23.4℃
  • 구름많음광주23.9℃
  • 비부산23.0℃
  • 흐림통영22.7℃
  • 안개목포22.9℃
  • 흐림여수22.8℃
  • 박무흑산도22.6℃
  • 흐림완도23.3℃
  • 구름많음고창22.9℃
  • 구름많음순천22.9℃
  • 구름많음홍성(예)23.9℃
  • 구름많음24.0℃
  • 흐림제주26.0℃
  • 흐림고산23.3℃
  • 흐림성산23.5℃
  • 흐림서귀포23.7℃
  • 흐림진주23.8℃
  • 맑음강화22.3℃
  • 구름많음양평23.6℃
  • 구름조금이천23.4℃
  • 구름많음인제22.0℃
  • 구름많음홍천22.9℃
  • 구름많음태백21.1℃
  • 구름많음정선군23.4℃
  • 구름많음제천21.5℃
  • 구름많음보은23.3℃
  • 흐림천안24.2℃
  • 구름많음보령22.9℃
  • 구름많음부여24.0℃
  • 흐림금산23.5℃
  • 구름많음23.7℃
  • 구름많음부안23.5℃
  • 구름많음임실22.9℃
  • 구름많음정읍23.4℃
  • 구름많음남원23.9℃
  • 구름많음장수22.3℃
  • 구름많음고창군22.8℃
  • 구름많음영광군23.2℃
  • 흐림김해시23.4℃
  • 구름많음순창군23.8℃
  • 흐림북창원24.3℃
  • 흐림양산시24.4℃
  • 흐림보성군24.3℃
  • 흐림강진군23.8℃
  • 흐림장흥24.1℃
  • 흐림해남23.5℃
  • 흐림고흥23.6℃
  • 흐림의령군25.4℃
  • 구름많음함양군24.5℃
  • 흐림광양시23.9℃
  • 흐림진도군23.1℃
  • 흐림봉화23.0℃
  • 흐림영주24.7℃
  • 구름많음문경23.9℃
  • 흐림청송군23.8℃
  • 흐림영덕20.7℃
  • 흐림의성23.8℃
  • 흐림구미24.0℃
  • 흐림영천24.6℃
  • 흐림경주시26.1℃
  • 구름많음거창23.4℃
  • 흐림합천25.4℃
  • 흐림밀양24.8℃
  • 흐림산청24.6℃
  • 흐림거제23.4℃
  • 흐림남해24.0℃
  • 흐림23.8℃
기상청 제공

365일 언제나 새로운 실시간 뉴스! 빠른 뉴스!!

최종편집일. 2024.06.29 10:21
구미상공의, 2021년 구미산단 수출업체 기회요인 및 애로사항 조사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구미상공의,
2021년 구미산단 수출업체 기회요인 및 애로사항 조사

- 구미공단 수출업체 57개 중 32.1% 올해 수출 기회요인으로 ‘비대면 경제의 확산’ 꼽아
- 수출업체 주요 애로사항으로 ‘제품가격 경쟁력 약화’ 가장 많이 지적
- 수출 증대 위한 정부 과제

[구미뉴스]=구미상공회의소(회장 조정문)가 지난 1125일부터 1211일까지 지역 내 57개 수출업체를 대상으로2021년 구미산단 수출업체 기회요인 및 애로사항 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수출에 영향을 끼칠 대내외 기회요인으로는 비대면 경제의 확산(32.1%)’을 가장 많이 꼽았다.

구미상공회의소건물사진.JPG

이는 지난해 코로나 확산으로 기업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비대면 근무, 비대면 일상(집콕), 비대면 쇼핑 등이 늘어나면서 뉴노멀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새로운 변화를 기회로 삼으려는 모습니다.

* 구미산단 스판덱스 제조 A사는 코로나 장기화로 실내 거주가 늘어나면서 실내복(레깅스) 수요 증가로 일시적으로 반사이익을 봄.

 

* 현금자동입출기(ATM) 제조 B사는 코로나 이전부터 언택트 솔루션 제시를 위한 기술개발과 제품 생산을 추진해옴. 창구 혁신용 비대면 디지털 데스크 출시, 고객용 Drive-Through ATM 개발, 셀프 주문용 키오스크(Kiosk :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시스템인 무인단말기) 개발, 대형마켓용 SCO(Self-Check-out) 기기 개발 등으로 새로운 사업영역을 확장함.

 

* 라면제조 C, 냉동핫도그 제조 D사 등은 코로나 이후 집에 거주하는 시간이 늘면서 매출도 동반 상승함.

 

* 유전 시추용 배관기자재 제조 E사는 코로나 사태로 원유수요가 급감함에 따라 주력사업 매출이 크게 줄었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신사업으로 KF94용 마스크를 생산하고 있음.

 

* 골판지상자 제조 F사는 지난해 코로나 발생 초기 2~3개월 정도 물량이 줄었으나 이후 택배 물량이 대폭 증가하여 매출이 상승하였고, 올해도 견고한 증가세가 예상됨.

 

이어 코로나19로 인한 펜트업(억눌렀던 소비가 폭발하는 현상)(26.9%), 코로나19 백신 개발(19.2%), 반도체시장의 확대(메모리/비메모리)(7.7%), 5G 상용화 및 확대(6.4%), RECP(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체결(3.8%), 한국판뉴딜(3.8%) 순으로 응답했다.

 

또한 수출 시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응답업체의 44.8%제품 가격 경쟁력 약화를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하였는데, 이는 올해 수출업체의 경영계획 수립 환율은 달러 당 1,125, 손익분기점 환율은 1,108원으로 각각 수립한 가운데 최근 환율(17일 종가 기준 1,087)이 손익분기점 수준보다 밑돌아 가격경쟁력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수출금융 지원 부족(19.4%), 해외 마케팅 등 수출전문가 부족(16.4%), GVC(글로벌공급망) 붕괴(11.9%), 제품의 품질경쟁력 약화(3.0%), 기타(4.5%)로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일업종 세계 최고기업의 경쟁력을 100점으로 봤을 때 구미산단 수출업체의 제품 경쟁력 점수를 살펴보면 기술경쟁력이 평균 84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품질·디자인경쟁력 81, 마케팅경쟁력 71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 속에 올해 수출 증대를 위해서 정부(지자체)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로 응답업체의 33.7%가 수출금융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으며, 이어 코로나19 피해 기업에 맞춤형 지원(자가격리문제, 특별입국) 강화(23.3%), 내수기업의 수출전환 지원(14.0%), 온라인 B2B 거래 플랫폼에서 구미 수출업체 제품 판매지원(14.0%), 신남방·북방 등 신흥시장 개척 지원 확대(10.5%), 기타(4.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이후 가장 유력한 미래 수출동력(신산업)으로는 29.7%가 미래차(전기·수소·자율주행)를 꼽았으며, 이어 첨단의료·바이오헬스(27.1%), 차세대 반도체(12.7%), 이차전지(11.9%), 에너지 신산업(태양광·풍력 등)(7.6%), 로봇( 6.8%), 항공드론(4.2%) 순으로 나타났다.

김달호 구미상공회의소 부사무국장-600.jpg

구미상의 김달호 부국장은 코로나 이후 지난해 4, 5월 구미공단 수출물량이 상당히 급감하였고, 최근에는 환율 하락과 수출입화물 운송료의 대폭적인 인상 등으로 수출환경이 좋지 않지만 구미공단 수출업체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보다 앞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금도 연구기술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며 정부에서는 비대면 마케팅 방안을 창출하여 표준모델을 업체에 보급하는 한편 수출 금융지원과 수출입화물 운송료에 대한 대폭적인 지원 등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1년 수출에 영향 끼칠 대내외 기회요인


noname01.jpg


구미산단 수출업체의 제품 경쟁력 점수


noname02.jpg


수출관련 주요 애로사항


noname03.jpg


수출 증대 위해 정부(지자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


noname04.jpg


코로나19 이후 가장 유력한 미래 수출동력(신산업)


noname05.jp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