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속초22.9℃
  • 비24.1℃
  • 흐림철원23.6℃
  • 흐림동두천22.3℃
  • 흐림파주21.9℃
  • 흐림대관령21.8℃
  • 흐림춘천24.1℃
  • 박무백령도20.1℃
  • 흐림북강릉22.3℃
  • 흐림강릉23.7℃
  • 흐림동해21.5℃
  • 비서울22.7℃
  • 박무인천21.5℃
  • 흐림원주24.8℃
  • 비울릉도22.9℃
  • 비수원23.0℃
  • 흐림영월24.7℃
  • 흐림충주25.2℃
  • 흐림서산22.5℃
  • 흐림울진20.4℃
  • 비청주25.1℃
  • 비대전23.5℃
  • 흐림추풍령24.2℃
  • 비안동23.6℃
  • 흐림상주23.8℃
  • 비포항25.4℃
  • 흐림군산23.6℃
  • 비대구24.5℃
  • 비전주24.1℃
  • 흐림울산24.8℃
  • 비창원24.7℃
  • 비광주23.8℃
  • 비부산23.5℃
  • 흐림통영24.7℃
  • 천둥번개목포23.4℃
  • 비여수23.5℃
  • 비흑산도23.7℃
  • 흐림완도24.9℃
  • 흐림고창24.1℃
  • 흐림순천23.9℃
  • 흐림홍성(예)23.5℃
  • 흐림23.9℃
  • 비제주27.0℃
  • 흐림고산23.8℃
  • 흐림성산24.4℃
  • 박무서귀포24.0℃
  • 흐림진주24.6℃
  • 흐림강화20.7℃
  • 흐림양평24.3℃
  • 흐림이천24.5℃
  • 흐림인제24.7℃
  • 흐림홍천24.2℃
  • 흐림태백22.5℃
  • 흐림정선군24.0℃
  • 흐림제천23.8℃
  • 흐림보은24.2℃
  • 흐림천안24.0℃
  • 흐림보령22.5℃
  • 흐림부여23.7℃
  • 흐림금산24.6℃
  • 흐림23.8℃
  • 흐림부안24.3℃
  • 흐림임실23.8℃
  • 흐림정읍24.4℃
  • 흐림남원24.2℃
  • 흐림장수23.5℃
  • 흐림고창군23.7℃
  • 흐림영광군24.1℃
  • 흐림김해시24.7℃
  • 흐림순창군24.7℃
  • 흐림북창원25.4℃
  • 흐림양산시24.8℃
  • 흐림보성군25.6℃
  • 흐림강진군24.4℃
  • 흐림장흥24.7℃
  • 흐림해남23.9℃
  • 흐림고흥24.3℃
  • 흐림의령군26.0℃
  • 흐림함양군24.1℃
  • 흐림광양시24.2℃
  • 흐림진도군24.0℃
  • 흐림봉화23.8℃
  • 흐림영주23.6℃
  • 흐림문경23.6℃
  • 흐림청송군24.4℃
  • 흐림영덕25.0℃
  • 흐림의성24.5℃
  • 흐림구미24.3℃
  • 흐림영천24.3℃
  • 흐림경주시25.1℃
  • 흐림거창23.4℃
  • 흐림합천24.6℃
  • 흐림밀양25.6℃
  • 흐림산청23.8℃
  • 흐림거제24.1℃
  • 흐림남해25.0℃
  • 흐림24.3℃
기상청 제공

365일 언제나 새로운 실시간 뉴스! 빠른 뉴스!!

최종편집일. 2024.06.29 10:21
경북도 지역화폐 A to Z 완전 해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경북도 지역화폐 A to Z 완전 해부

- 3년 간 2.2조원 발행, 2조원 결제, 월·금 12·15시 결제 활발 -

[구미뉴스]=경상북도는 지역화폐 활성화 전략 수립을 위한 경상북도 지역화폐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사업은 경상북도 지역화폐 이용현황 및 소비패턴 파악을 목적으로 2019202123개 시군의 지역화폐 결제데이터, 신용 카드 소비 데이터, SNS 텍스트 데이터를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까지 분석했다.

 

분석에 기초해 지역화폐 효과성 검토, 지역화폐 성공요인 및 활성화 방안 도출, 도민 체감 지역화폐 정책 발굴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1)경상북도_지역화폐_통합_플랫폼_구축_제안.jpg

지역화폐란 지자체가 발행하는 상품권*으로 해당 지자체 내 가맹점(백화점, 대형마트 제외)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 ◌◌사랑상품권, △△화폐, 페이 등의 명칭으로 발행

 

지류, 카드, 모바일 등 다양한 형태로 발행되고 있으며 액면 금액보다 저렴하게 판매하거나 사용 금액의 일부를 적립해주는 등의 혜택이 있다.

 

최근 3년 간(2019~2021) 경북에서 9개 수급사를 통해 약 2조원의 지역화폐가 발행·결제됐다. 지역화폐 유형별로 결제금액과 건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4-2)성별_지역화폐_주요_이용_업종_현황_및_지역별_카드·지역화폐_결제_패턴_비교_결과.jpg

결제금액은 지류(1.45조원, 522만회), 결제건수는 카드(6051억원, 2398만회)가 가장 많았으며, 모바일은 133억 원(35만회), 제로페이는 23억원(5만회), 통합형은 422억원(124만회)이 각각 거래됐다.

 

, 요일, 시간별로 결제 규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난해 9월의 결제금액이 1622억 원으로, 10월의 결제건수가 356만 회로 가장 많았다. 요일의 경우 월요일의 결제금액이 4659억 원으로, 금요일의 결제건수가 488만 회로 가장 많았다.

 

최대 결제 시간은 15(3,129억 원), 최다 결제 시간은 12(248만 회)로 나타났다.

 

지역화폐가 많이 결제된 업종은 슈퍼마켓(541만회), 일반한식(265만회), 주유소(250만회)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결제 금액은 주유소(1674억 원)에서 가장 컸다.

 

성별 결제 비율은 여성이 51%, 남성이 49%였으며 여성의 결제금액이 남성 대비 1.03배 이상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시군별로 지역화폐 거래 규모(결제금액, 결제건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포항(1.3조원, 460만회), 경주(1518억원, 593만회), 경산(1125억원, 521만회)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화폐 사용에 따른 (신용카드 사용 대비) 수수료 절감 효과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 규모와 마찬가지로 수수료 절감 금액 상위 3개 시군 역시 포항, 경주, 경산 순이었고, 절감 금액은 각각 82억원, 12억원, 9억원으로 밝혀졌다.

 

시군별로 실시하고 있는 지역화폐 활성화 정책(할인율 증가, 구매한도 상향, 페이백 등)도 대부분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화폐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았다.

 

우선 연령, 성별, 거주지 등에 따라 선호하는 지역화폐 유형과 소비패턴이 다른 만큼 맞춤형 프로모션이 필요하다.

 

또 휴대전화로 지역화폐 사용 가능 업종, 자기 주변 가맹점 위치 및 정보, 다른 사람들의 이용 현황(거래금액 상위가맹점 등) 제공 방안도 제시됐다.

 

무엇보다 현재 23개 시군별로 9개 수급사가 각기 지역화폐를 발행하고 있어 시군 지역화폐 통합 발행을 통해 이용자 편의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경상북도 지역화폐 통합 플랫폼 구축을 통해 지역화폐 사용 데이터 수집·분석·관리, 가맹점 정보 통합 제공, 홍보 및 정보 공유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정책제언도 있었다.

 

이정우 경북도 메타버스정책관은"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도민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각적이고 과학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좋은 정책 수립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